본문 바로가기
제약회사

NDMA 검출의 역사 그리고 의약품 제조공정의 미래

by &^*$$% 2023. 8. 11.

여러 의약품에서 NDMA 검출이슈로 제약회사에서 제품을 긴급히 회수하는 일이 때때로 발생한다. NDMA는 무엇이고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인지 알아본다

NDMA란 무엇인가.

디메틸니트로사민(DMN)으로도 알려진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은 (CH3)2NNO 공식을 가진 유기 화합물이다. NDMA는 담배연기 등에 들어있는 해로운 물질 중 하나이며 동물실험을 통해 간독성이 높고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NDMA(N-Nitrosodimethylamine)는 WHO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에 암을 유발한다는 근거가 제한적인 발암 추정물질(2A)로 분류돼 있다.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NDMA 이슈

2018년 발사르탄

유럽의약품안전청에 의해 처음 보고가 되었던 사태로서, 고혈압과 심부전 치료제로 쓰이는 원료의약품 발사르탄에서 NDMA가 검출되어 제품회수를 했었고 그 여파로 우리나라도 같은 어려움을 겪었다.

원료의약품의 원산지였던 중국의 제조사로부터 발생됐던 문제로서 해당 사태 이후로 발사르탄은 시장에서 퇴출된 바 있다.

 

2019년 라니티딘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에서 NDMA가 미량 검출됐다는 발표 후 국내로 수입되거나 국내에서 제조되어 유통 중인 라니티딘 원료의약품을 수거, 검사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라니티딘을 사용한 국내 유통 완제의약품 전체(269 품목)에 대해 잠정적으로 제조·수입 및 판매를 중지하고, 처방을 제한하도록 조치했다.

라니티딘은 위장염 관련 치료 의약품의 원료이다.

 

2020년 메트포르민

메트포르민 불순물 사태는 싱가포르의 원료의약품이 문제였다. 국내에서는 싱가포르산 원료의약품을 수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싱가포르발 메트포르민 불순물 사태와 무관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미국에서 판매 허용된 메트포르민 의약품 10개 제품에 대한 샘플검사를 시행한 것과 달리 식약처는 좀 더 신중을 기해 전수조사를 진행했다. 샘플조사 결과는 신뢰도가 낮아서 안심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그 결과로 메트포르민 성분 의약품 288 품목 중 NDMA가 검출된 31 품목의 제조 및 판매가 중단되었다. 메트포르민은 당뇨병치료제인데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효과가 좋다 보니 발사르탄이나 라니티딘과 달리 대체할 약품이 마땅치 않아서 판매중지가 되면 당뇨병환자들에게는 큰 충격이 될 뻔했다.

 

합성약물의 한계

의약품은 처음 발견될 때는 대부분 천연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사용했었다. 약효를 나타내는 성분의 화학구조를 알아내고 화학반응을 통해 인위적으로 동일한 분자구조를 만들면 동일한 효능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 인류는 대량 합성 의약품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화학반응을 완벽하게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합성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물질이 샹성 되기도 하는데 이런 것들이 불순물이고 NDMA인 것이다. 

합성제조공정의 미래

물론 제시된 해답은 있다. PCM으로 부르는 연속식 공정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합성공정은 물론 제조공정에도 파이오니어 제약회사들을 통해 실용화되어 있기도 하다. 하지만 많은 대부분의 제약회사는 경제성에 대한 회의와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반신반의하고 있어 완전한 트랜지션을 위해서는 꽤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 및 정리

  • 발암물질인 NDMA는 보이지 않는 위험이며 지속적으로 주의해야 하는 사안이다.
  • 합성의약품은 불순물 위험이 존재 하지만 현재로선 사전, 사후 품질관리로 대응하고 있다.
  • 현재의 대량배치생산의 대안으로는 연속생산이 방식이 있다